향후 5년간 시장 열려, 한인들 참여할 기회 연방 도로 교통국(USDOT)은 26일 웨비나를 통해 향후 5년간 다양한 프로젝트 기회를 통해 5000억 달러의 조달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는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 계획의 일부다. 법안은 작년 연말 극적으로 하원을 통과했고, 현재 상원에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더 나은 재건은 설 곳 없는 중산층을 지지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무료 유치원, 헬스케어, 교육 지원 등 사회복지성 요소가 주를 이룬다. 문제는 이 법안 실행에 필요한 자금인데, 2조 달러를 대기업과 대부호 증세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이다. 사회 기반 시설 업그레이드를 표방하는 인프라 스트럭쳐 안은 작년 11월 대통령 인준을 거쳐 법으로 제정됐다. 전 세계 200여 개 국가 중 가장 큰 예산을 운용하는 미국의 인프라 시설은 대다수의 국가에 비해 일찌감치 건설된 탓에 가장 낙후돼 있다. 일례로 뉴욕의 지하철은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퇴화를 거듭하고 있다. 인프라 스트럭쳐 법은 도로와 다리 개보수(1100억), 전선망 업그레이드(730억), 철로(660억), 광대역 인터넷(650억), 상수도(550억), 기후변화 대비(500억), 공항 및 항만(420억), 대중교통(390억), 환경 및 정화(210억), 전기차(150억), 교통안전(110억) 등에 투자한다. 법안 영향으로 건설 붐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이전의 건설 붐과 다른 점은 모든 요소에 전산화와 자동화, 현대화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이다. 건설 플러스 테크놀로지 붐이라고 내다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연방 교통국이 웨비나를 통해 특별히 소기업 대상 설명회를 연 것은 연방 조달 법상 25만 달러 미만 사업은 소기업에 기회를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굵직한 계약을 체결한 프라임 컨트렉터에게 하청업체가 꼭 필요하다는 뜻이다. 랜달 노스맨 교통국 상이군인 소기업 지원 담당은 “프라임 컨트렉터와 하청기업 사이에 상명하달식 체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상생의 구조라고 설명했다. 인프라 스트럭쳐 법안 덕분에 대기업과 소기업 연계에 대한 필요가 급부상하자 연방 교통국은 온라인 만남의 장을 개설했다. 멘토와 연결, 기업 매칭, 연방 부서의 조달 담당자와의 면담 등 가교 역할을 자처하겠다는 것이다. 소기업이 조달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결코 단기간에 뚝딱뚝딱 해결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연방 계약을 위해서는 소기업이 기본적으로 완료해야 하는 절차는 고용인 아이디(EIN) 취득, 국제사업자등록번호(DUNS) 취득, 북미산업 분류 시스템 코드(NAICS) 취득, 계약관리 시스템(SAM) 등록, 민관 사업체(CAGE) 코드 발급, 소기업 인증(SBA Certification) 등이 필요하다. 간단하지는 않지만 일단 한두 가지 산을 넘고 나면 나머지 절차는 상당 부분 비슷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김은정 기자